오랫만에 직접 구매해서 복용한 영양제를 소개해 드리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바나바잎 영양제 2개 브랜드를 가져와 봤습니다.
저는 제2형 당뇨를 가지고 있어서 식후 혈당에 관해서 좀 민감합니다.
실제로도 수치가 잘 안떨어지는 날에는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죠 ㅠ.ㅠ
병원에서 처방받는 약도 있지만 보조제로써 식후혈당 관리에 좋다는 바나바잎 영양제를 같이 먹고있습니다.
1. 바나바잎이 품은 성분 [코로솔산]
바나바잎의 주 성분은 코로솔산이라는 듣기만 해도 발음하기 어려운 성분입니다.
이 성분 때문에 바나바잎은 전통의학에서 당뇨 등 체질개선에 많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코로솔산은 신체의 인슐린 수용체의 기능을 향상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줍니다.
이로 인해서 혈당 개선에 상당히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미 이 성분의 혈당관리 능력은 1940년에 최초로 연구를 발표할 정도로 꽤나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항산화 기능도 뛰어나고, 고지혈증에도 도움이 되고,
이러한 도움은 당뇨가 가져오는 합병증에도 큰 예방효과를 준다고 합니다.
2. 선택한 바나바잎 영양제 2개
최근에 구매해서 먹었던 바나바잎 영양제 브랜드는 총 2개로
<닥터 브라이언>과 <내츄럴 플러스>입니다.
닥터 브라이언은 1box에 30개, 1달 분량이고
네츄럴 플러스는 1box에 60개, 2달 분량이 들어있었습니다.
두 제품 모두 쿠팡에서 그렇게 비싸지않게 구입이 가능했습니다.
제품마다 주 성분이 코로솔산은 당연히 포함되었지만 보조로 들어가는 성분과 용량이 틀립니다.
기본적으로 보조적으로 들어가는 성분들은 아연, 셀렌, 크롬입니다.
모두 당뇨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타 바나바잎 영양제에도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갑니다.
제품마다 어떤건 더 들어가고, 추가적으로 비타민C도 들어가는 등 차이가 있으니
본인이 좀더 중요시 여기는 성분이 들어가는 제품을 선택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개하는 위의 제품만 간단히 표로 정리해 보자면
구분 | 닥터 브라이언 | 네츄럴 플러스 |
코로솔산 | 1.3mg | 1mg |
아연 | 35mg | 15mg |
셀렌 | 200ug | |
크롬 | 400ug | |
비타민C | 없음 | 50mg |
닥터 브라이언 제품은 코로솔산 용량이 0.3mg 더 포함되어있고, 아연도 20mg이나 더 들어가 있습니다.
단순히 식후혈당과 남자건강에 좋은 아연의 높은 용량을 위해선 이 제품이 좋을 것 같습니다.
네츄럴 플러스의 경우에는 코로솔산과 아연의 용량이 적으나, 비타민C가 50mg 포함되어 있는게 특징입니다.
그래서 좀더 종합적인 건강을 위한 성분조합이 아닐까 싶네요.
저는 두 제품 모두 먹어 본 결과 나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비타민C는 따로 고려은단 1000mg을 챙겨먹고 있었고, 아연도 따로 먹고있었습니다.
그래서 닥터 브라이언 제품을 먹으면 아연 영양제를 따로 안 챙겨먹어도 될 것 같아서 선택했습니다.
아연의 1일 최대 권장량이 50mg으로 알고있는데 35mg이라면 괜찮다고 생각했습니다.
3. 마무리
오늘은 당뇨가 있으신 분들께 추천해 드리는 바나바잎 영양제 2개 브랜드 비교 글 이었습니다.
다른 제품들도 있지만 저는 위의 2개 브랜드로 챙겨먹고 있어서 알려드리게 되었는데요.
영양제마다 포함된 성분의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더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브랜드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미 종합영양제를 챙겨드시는게 있다면 하루 권장량도 체크해 보시면서 이 영양제들을 드시는게 좋습니다.
아무리 좋은 성분의 약이여도 너무 과하면 좋지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영양제를 드신다고 바로 드라마틱한 효과는 나오지 않습니다.
뭐든지 짧아도 한달, 길면 세달은 꾸준히 복용하셔야 효능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꾸준히 복용하시고 식후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그럼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라가지 리뷰하기 > 내가 산 영양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차를 1.5L 생수처럼 간편하게! (0) | 2021.03.20 |
---|---|
간 건강을 위한 밀크씨슬 영양제 [헬씨칸 로얄] (0) | 2021.02.14 |
마카 영양제 3개 비교 [나우푸드 / 비타민마을 / 파워마카3600] (0) | 2021.01.29 |